직무 상황에서의 기초 의사소통 능력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
- 1) 청정 언어문화가 아닌 ‘실용 언어 능력’을 기를 수 있는 평가
- 2) 일상생활, 학교 및 직장에서의 면접, 회의 등 여러 사회적 상황에서 필요한 의사소통 능력을 기를 수 있는 평가를 개발하여 시행
- 3) 청소년과 성인 모국어 화자들의 일상생활에서의 의사소통 능력 뿐만 아니라 직무 상황에서의 기초적인 소통 능력 향상 기여
- 4) 모국어 화장들의 실제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진단할 수 있는 평가도구를 개발하여 다양한 분야(기업, 산업현장 등)에서         각 목적(취업, 신입 사원 교육)에 따라 유의미한 평가 및 교육 근거 활용
- 시험의 성격
- ㆍ  한국인을 위한 유일한 직무 기반의 의사소통 능력 평가 도구
- ㆍ  실제 언어 사용 능력을 평가하는 쓰기/말하기 수행능력 평가 도구
- ㆍ  회의, 토론, 발표 등 다양한 직무 상황 속에서의 과제 수행 능력 평가
- ㆍ  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쓰기/말하기 전문가들의 평가 결과 제공
- 시험의 특징
- ㆍ   KBS한국어진흥원 주관 평가 시험
- ㆍ  과제 중심의 수행 평가 방식으로, 실제 의사소통 능력 진단
- ㆍ   CBT 솔루션을 통해 원하는 시간 및 장소에서 시험 응시
- ㆍ  쓰기 및 말하기 전문가들의 진단 결과 제공