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밀한 언어 수행 능력 측정을 목표로 하는 시험
01 다양한 언어 사용 영역을 총체적으로 평가하는 시험
- 국어기본법은 국어능력을 '국어를 통하여 생각이나 느낌 등을 정확하게 표현하고 이해하는 데 필요한
듣기ㆍ말하기ㆍ읽기ㆍ쓰기 등의 능력'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.
- KBS한국어능력시험은 이러한 듣기, 말하기, 읽기, 쓰기 능력을 총체적으로 평가하는 시험입니다.
- 이와 더불어,정확하고 풍부한 언어 사용을 평가하기 위한 어휘, 어법 영역, 창의적인 언어 사용을 평가하기 위한
- 창안 영역, 국어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평가하기 위한 국어문화 영역을 편성하여 다차원적인 언어 사용 능력을 평가하고 있습니다.
02 실제 언어 사용 환경을 적극 반영한 실용성 높은 시험
- KBS한국어능력시험은 국민이 실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실제 언어 환경을 적극 반영하고 있습니다.
- 실생활과 유리된 부차적인 지식의 측정을 지양하고, 실제 언어 생활에 기여할 수 있는 정확하고 효과적인 지식을 측정할 것을 지향합니다.
- 시험에 사용되는 다양한 제시문을 일상생활에서 들여오고,
문항 구성도 실제 생활에서 언어 사용에 관련된 상황을 기반으로 하여 문제 해결식으로 구성하였습니다.
- 단지 평가 점수를 부여하기 위한 측정 시험이 아니라, 시험을 준비하고 치르는 동안 자연스럽게 국어 능력이 향상되는 시험이 되도록 설계한 것입니다.
등급제 반영으로 실제 언어 수행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시험
01실제 언어 수행 능력을 반영한 등급제 시스템(특허)을 보유한 시험
- KBS한국어능력시험은 과학적인 등급부여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습니다.점수대에 따라 근거 없이 작위적으로 등급을 부여하는 방식이 아닙니다.
- 실제 언어 수행 능력을 측정한 결과와 KBS한국어능력시험의 결과를 연계하여 등급을 부여하는 시스템을 자체 개발하여 특허를 출원하였습니다.(특허출원 제10-0038483호)
- KBS한국어능력시험의 등급부여 시스템은 매 시험의 수험자 수준과 문항의 난이도가 반영되기 때문에, 일관되고 안정적인 등급부여가 가능합니다.
- 또한, KBS 한국어능력시험 결과만으로도 실제 언어 수행 능력을 가늠할 수 있습니다.
02과학적인 결과 분석 시스템을 갖춘 시험
- KBS한국어능력시험은 시험 실시 이후, 수험자의 반응을 분석하는 전문 분석팀을 보유하고 있습니다.
- 이 결과분석팀은 영역별 수준 차이를 점검하여 편차를 보정하는 일과, 문항별 수험자이 답지 반응, 문향변별도, 문항난이도를 분석하여
출제위원단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.
- 결과분석팀의 활동으로 인해, 영역별 평가 수준의 일관적인 유지와 문항의 품질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가 가능합니다.